화이트디펜더의 최신 소식과 제품의 대한 정보를 확인 할 수 있습니다.
[보안칼럼]
랜섬웨어, 사이버 범죄를 넘어 국가 디지털 재난
디지털 전환(DX)을 넘어 인공지능(AI) 기반 사회로 진입한 지금, 사이버 보안은 단순한 기술의 영역을 넘어 국가 인프라와 시민의 삶을 지키는 핵심 안전만으로 자리 잡고 있다. 그중에서도 랜섬웨어는 이제 단순한 금전 목적의 사이버 범죄를 넘어선 재난 수준의 복합 위협으로 진화했다. 한때 개인 사용자나 중소기업을 노렸던 랜섬웨어는 오늘날 병원, 통신망, 전력망, 교육기관, 공공기관까지 무차별적으로 공격하며 사회 전체를 타깃으로 삼는 전방위적 위협으로 확장되고 있다.
특히 최근 들어 급속히 확산된 서비스형 랜섬웨어 (RaaS: Ransomware as a Service) 구조는 사이버 범죄의 진입 장벽을 무너뜨려, 이제는 전문 해커가 아니더라도 기술이 부족한 일반인조차 공격자가 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었다. 그 결과 공격은 더 자주, 더 정교하게 반복되고 있다. 이로 인해 국가와 기업은 단일 시스템을 마비를 넘어 신뢰와 사회 질서 자체가 붕괴될 수 있는 문턱에 서 있다.
실제로 최근 한국 내에서 발생한 주요 사례들은 이러한 현실을 그대로 보여준다. SK텔레콤의 내부망 공격 시도는 국가 핵심 통신 인프라에 대한 근본적 위협을 시사했고, 예스 24의 콘텐츠 유통망 중단은 전자상거래 전반을 마비시켰다. 더욱 심각한 것은 SGI 서울보증보험의 시스템 장애로 고객 업무가 전면 중단되고 민원이 폭증한 사례였다. 이는 단순한 정보기술 문제가 아니라 국민과 공공기관 사이의 신뢰가 위협받는 상황임을 여실히 보여준다.
이러한 현실은 우리에게 명확한 메시지를 전달한다. 랜섬웨어는 이제 기술적 사안이 아니라 사회적 이슈이자 국가적 과제다. 공격의 피해는 단순한 복구 비용에 그치지 않고, 데이터 손실, 운영 중단, 브랜드 이미지 훼손, 법적 분쟁, 민원 증가, 고객 신뢰도 하락 등 다양한 형태로 나타난다. 특히 공공서비스 영역에서 발생한 피해는 특정 조직에 국한되지 않고 지역사회와 국가 전체로 파급되며 실질적인 "디지털 재난"으로 이어질 수 있다.
그럼에도 많은 기관은 여전히 이미 알려진 공격 패턴과 시그니처(특정 패턴)에 기반한 전통적 보안 방식에 머물러 있다. 그러나 최신 랜섬웨어는 실시간으로 변종을 생성하고, 파일 없이 메모밀에서 실행되는 파일리스(Fileless) 기법을 통해 기존 보안 체계를 손쉽게 우회한다. 이러한 환경에서는 기존 탐지 방식으로는 선제적 대응이 사실상 불가능하다.
결국 지금 필요한 것은 위협이 발생하는 그 순간을 감지하고 자동 차단할 수 있는 시그니처리스 "행위 탐지 기술" 중심의 방어 체계로의 전환이 불가피하다. 이러한 보안 전략은 단순히 특정 제품 도입을 넘어 공공 정책과 조직 운영체계 전반의 재설계가 병행돼야 한다. 특히 공공기관은 그 역할과 책임에 걸맞은 선제적 방어 능력을 갖춘 보안 체계를 반드시 구축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실시간으로 랜섬웨어 암호화 시동, 시스템 설정 변조와 같은 이상 행위를 탐지해 사전에 공격을 차단할 수 있는 행위 탐지 기술의 도입이 핵심이다. 또 예산과 인력 측면에서 현실적 운영 기반이 마련돼야 한다. 보안 전문 인력이 부족한 중소형 공공기관에서도 안정적으로 적용할 수 있도록, 표준화된 보안 운영 지침, 중앙정부 차원의 지원 체계, 권역별 통합 보안 관제와 같은 정책적 기반이 함께 마련돼야 한다.
이제 랜섬웨어 대응은 사후 복구가 아니라, 사전 탐지와 선제 차단 중심의 예방 보안 쳬계로 재편되야 한다. 정부와 공공기관은 랜섬웨어를 단순한 보안 이슈가 아닌 국가 안보와 국민 안전을 위협하는 구조적 문제로 인식하고, 범정부적 보안 거버넌스를 정비해야 한다. 랜섬웨어는 더 이상 보안 부서만의 전담 과제로 남겨둘 수 없다. 그것은 디지털 주권과 시민 보호를 위한 사회 전체의 공동 과제다. 해답은 선제척이고 지능화된 안티랜섬웨어 기술, 그리고 이를 뒷받짐할 정책적 결단에 달려 있다.
에브리존, 화이트디펜더
글쓴이 | CEO 홍승균 (skhong@everyzone.com)
에브리존 화이트디펜더 홍승균 대표이사 보안 컬럼 - 랜섬웨어는 국가 디지털 재난
관련있는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