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Cyborg 랜섬웨어 ]
[ 바이러스/악성코드 활동 접수: Cyborg 랜섬웨어 ]
Cyborg 랜섬웨어 형태로 추정되는 침해사고 발생하여
이에 해당 상황에 대한 확인 및 주의보를 다음과 같이 전달 드립니다.
Cyborg 랜섬웨어
해당 랜섬웨어는 Cyborg라고 하며 파일명.Cyborg1 모든 파일을 변경하고 있는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작동 방식
파일 버전
[그림1 랜섬웨어 실행 파일 컴파일러 정보 ]
[그림2 윈도우 속성의 파일 정보]
랜섬웨어 동작 특징
이 랜섬웨어는 .NET 기반의 VB 언어로 개발되었으며, 분석을 어렵게 만들기 위해 다양한 난독화 기법이 적용되어 있습니다. 코드 내 주요 로직과 문자열은 정적 상태에서는 암호화되어 있으며, 실행 시점에서만 복호화되어 동작합니다. 이러한 구조는 정적 분석을 방해하고, 탐지를 회피하기 위한 전형적인 기법으로 볼 수 있습니다.
또한, 일부 동일 계열의 변종에서는 감염 후 사용자 바탕화면을 변경하는 기능이 확인되었으나, 이번에 분석된 해당 샘플에서는 해당 기능이 비활성화되어 있음을 확인하였습니다. 이는 빌드 옵션의 차이, 테스트 버전, 혹은 배포 목적에 따른 기능 제한 가능성으로 추정됩니다.
[그림3 난독화된 내부 정적 코드 ]
감염결과
안내 파일은 암호화 완료 후 Cyborg_DECRYPT.txt 라는 이름으로 각각의 폴더 위치에 생성이되며 암호화가 진행된 각각의 파일들은 < 파일명.확장자.Cyborg1 >으로 변경됩니다.
[그림4 감염결과]
화이트디펜더 대응
화이트디펜더 랜섬웨어의 악성 행위 및 차단 이전에 암호화가 진행될 파일에 대해서도 실시간으로 자동복원을 지원합니다.
[그림5 차단 메시지]
관련있는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