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랜섬웨어 보안
  • 랜섬웨어 침해 분석, 랜섬웨어 종류, 랜섬웨어 보안 자료 제공

랜섬웨어 보고서

랜섬웨어 최신 정보를 확인 할 수 있습니다.

제목
Zsszyy 랜섬웨어
등록일
2025-09-23
조회수
150

[ Zsszyy 랜섬웨어 ]

[ 바이러스/악성코드 활동 접수: Zsszyy 랜섬웨어 ]

Zsszyy 랜섬웨어 형태로 추정되는 침해사고 발생하여
이에 해당 상황에 대한 확인 및 주의보를 다음과 같이 전달 드립니다.

Zsszyy 랜섬웨어

해당 랜섬웨어는 Aoki라고 하며 파일명.확장자.{36자리UUID].zsszyy 모든 파일을 변경하고 있는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작동 방식

파일 버전


[그림1 랜섬웨어 실행 파일 컴파일러 정보 ]


[그림2 윈도우 속성의 파일 정보]

랜섬웨어 동작 특징

  • 본 악성코드는 C++로 개발된 랜섬웨어로, 프로그램이 최초 실행되면 자신을 시스템 폴더로 복사합니다. 이는 C:ProgramData{GUID}{랜덤문자열}.exe 형태로, 36자리 UUID 형식의 폴더명과 8자리 랜덤 파일명을 사용하여 탐지를 회피합니다. 이후 복사된 파일을 재실행하고 원본은 종료됩니다. 뮤텍스(Mutex)를 활용하여 프로그램의 다중 실행을 방지하며, 이를 통해 시스템 리소스 충돌과 중복 암호화 문제를 사전에 차단합니다. 암호화 작업이 완료되면 Windows 시작 프로그램 레지스트리(HKCUSoftwareMicrosoftWindowsCurrentVersionRun)에 자신을 등록하여 시스템 재부팅 후에도 지속적으로 실행되도록 합니다. 이때 /V- 파라미터를 추가하여 이미 암호화된 파일에 대한 중복 암호화를 방지합니다.


    [그림3 복사된 실행파일과 시작프로그램 등록 레지스트리 ]

감염결과

안내 파일은 암호화 완료 후 README.txt 라는 이름으로 각각의 폴더 위치에 생성이되며 암호화가 진행된 각각의 파일들은 < 파일명.확장자.{36자리UUID].zsszyy >으로 변경됩니다.


[그림4 감염결과]

화이트디펜더 대응

화이트디펜더 랜섬웨어의 악성 행위 및 차단 이전에 암호화가 진행될 파일에 대해서도 실시간으로 자동복원을 지원합니다.


[그림5 차단 메시지]

Zsszyy 차단 영상 보러 가기

이전글
이전글 없음
다음글
Lena 랜섬웨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