랜섬웨어 최신 정보를 확인 할 수 있습니다.
[ Wannadie 랜섬웨어 ]
[ 바이러스/악성코드 활동 접수: Wannadie 랜섬웨어 ]
Wannadie 랜섬웨어 형태로 추정되는 침해사고 발생하여
이에 해당 상황에 대한 확인 및 주의보를 다음과 같이 전달 드립니다.
Wannadie 랜섬웨어
해당 랜섬웨어는 Wannadie라고 하며 파일명.WANNADIE 모든 파일을 변경하고 있는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작동 방식
파일 버전
[그림1 랜섬웨어 실행 파일 컴파일러 정보 ]
[그림2 윈도우 속성의 파일 정보]
랜섬웨어 동작 특징
이 랜섬웨어는 C# .NET 기반으로 개발되었으며, 내부 코드의 실행 분기가 스페인어(si/no)로 작성된 것이 특징입니다. 감염 시 섀도우 복사본과 백업 카탈로그를 삭제하고 Windows 복원 기능 및 오류 알림 기능을 비활성화하여 시스템 복구를 방해합니다. 주로 Windows 루트 드라이브를 공격하지만, 다른 드라이브에 ABREME.exe(스페인어로 '열어봐'라는 의미) 파일을 생성하여 이동식 디스크 사용 시 추가 감염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또한 %AppData%Local 위치에 discord.exe라는 이름으로 실행 파일을 생성하고 Windows 시작 프로그램 레지스트리에 등록하여 시스템 재부팅 후에도 지속적으로 실행되도록 설정합니다.
[그림3 스페인어를 사용하는 정적 코드 내용(si/no) ]
[그림4 cmd 관련 정적 코드 ]
[그림5 추가 드라이브에 랜섬웨어 실행파일 복사(bat) ]
[그림6 시작프로그램 레지스트리에 랜섬웨어 등록 ]
감염결과
안내 파일은 암호화 완료 후 README.txt 라는 이름으로 각각의 폴더 위치에 생성이되며 암호화가 진행된 각각의 파일들은 < 파일명.확장자.WANNADIE >으로 변경됩니다.
[그림7 감염결과]
화이트디펜더 대응
화이트디펜더 랜섬웨어의 악성 행위 및 차단 이전에 암호화가 진행될 파일에 대해서도 실시간으로 자동복원을 지원합니다.
[그림8 차단 메시지]
관련있는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