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랜섬웨어 침해대응센터
  • 랜섬웨어 침해 분석, 랜섬웨어 종류, 랜섬웨어 보안 자료 제공

랜섬웨어 보고서

랜섬웨어 최신 정보를 확인 할 수 있습니다.

제목
Maga 랜섬웨어
등록일
2025-02-11
조회수
170

[ Maga 랜섬웨어 ]

[ 바이러스/악성코드 활동 접수: Maga 랜섬웨어 ]

Maga 랜섬웨어 형태로 추정되는 침해사고 발생하여
이에 해당 상황에 대한 확인 및 주의보를 다음과 같이 전달 드립니다.

Maga 랜섬웨어

해당 랜섬웨어는 Encp라고 하며 파일명.확장자.id-개인키8자리.[MAGA24@cyberfear.com].MAGA로 모든 파일을 변경하고 있는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작동 방식

파일 버전


[그림1 랜섬웨어 실행 파일 컴파일러 정보 ]


[그림2 윈도우 속성의 파일 정보]

랜섬웨어 동작 특징

  • c++ 기반 랜섬웨어로 데이터와 관련된 특정 서비스 및 프로세스를 확인하고 종료합니다. 그후 자신과 랜섬노트를 특정 위치(AppData 폴더 / 시스템 폴더 / 시작프로그램 폴더)에 복사하고 윈도우 시작 시 장동으로 동작되도록 시작프로그램의 레지스트리에도 등록하며 암호 진행 시 사용자의 데이터 복구가 어려워 지도록 쉐도우 복사본을 삭제합니다.


    [그림3 특정 서비스 및 프로세스를 확인하는 동적 코드 1 ]


    [그림4 특정 서비스 및 프로세스를 확인하는 동적 코드 2 ]


    [그림5 시작프로그램 레지스트레에 등록된 내용 ]

감염결과

안내 파일은 각각의 폴더 위치에 < mshta.exe / MAGA_info.txt > 이름으로 생성되고, 암호화가 진행된 각각의 파일들은 < 파일명.확장자.id-개인키8자리.[MAGA24@cyberfear.com].MAGA >으로 변경됩니다. 암호화 완료 후 txt 노트를 실행합니다.


[그림6 감염결과]

화이트디펜더 대응

화이트디펜더 랜섬웨어의 악성 행위 및 차단 이전에 암호화가 진행될 파일에 대해서도 실시간으로 자동복원을 지원합니다.


[그림7 차단 메시지]

Maga 차단 영상 보러 가기

이전글
이전글 없음
다음글
Encp 랜섬웨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