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랜섬웨어 침해대응센터
  • 랜섬웨어 침해 분석, 랜섬웨어 종류, 랜섬웨어 보안 자료 제공

랜섬웨어 보고서

랜섬웨어 최신 정보를 확인 할 수 있습니다.

제목
Kasper(Biobio) 랜섬웨어
등록일
2024-12-24
조회수
395

[ Kasper(Biobio) 랜섬웨어 ]

[ 바이러스/악성코드 활동 접수: Kasper(Biobio) 랜섬웨어 ]

Kasper(Biobio) 랜섬웨어 형태로 추정되는 침해사고 발생하여
이에 해당 상황에 대한 확인 및 주의보를 다음과 같이 전달 드립니다.

Kasper(Biobio) 랜섬웨어

해당 랜섬웨어는 Kasper 라고 하며 파일명.확장자.Biobio 모든 파일을 변경하고 있는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작동 방식

파일 버전


[그림1 랜섬웨어 실행 파일 컴파일러 정보 ]


[그림2 윈도우 속성의 파일 정보]

랜섬웨어 동작 특징

  • C++ 기반으로 제작된 이 랜섬웨어는 다중 모드 지원을 통해 다양한 환경에서 유연하게 동작하도록 설계되어 있습니다. 실행 시 추가 파라미터를 받아 특정 상황에 맞는 동작 모드를 활성화합니다. 뮤텍스를 이용하여 동일 시스템 내 중복 실행을 방지함으로써 자원의 비효율적 사용을 차단하고 공격 대상은 PC의 일반 드라이브에 국한되지 않고 이동식 저장 장치와 네트워크 경로까지 확장되어, 네트워크 기반 환경에서 특히 더 큰 피해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암호화 작업이 완료된 이후에는 cmd를 통한 명령어를 통해 쉐도우 복사본을 삭제하고, 시스템의 휴지통 데이터를 완전히 제거함으로써 사용자가 데이터 복구를 시도할 가능성을 차단합니다. 이는 기존 백업이나 데이터 복구 도구를 무력화하려는 의도로 보입니다. 마지막으로, 랜섬웨어는 자신을 시스템에서 완전히 삭제하여 포렌식 분석과 샘플 확보를 어렵게 만듭니다. 이러한 자체 삭제 메커니즘은 흔적을 남기지 않음으로써 탐지 가능성을 낮추고, 분석을 지연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그림3 상황에 따른 파라미터를 통한 다중 모드 지원]


    [그림4 중복 방지 뮤텍스 ]


    [그림5 모든 경로의 드라이브 공격 ]


    [그림6 쉐도우복사본 삭제 ]


    [그림7 휴지통 모두 비우기 ]


    [그림8 랜섬웨어 실행파일 삭제 ]

감염결과

안내 파일은 각각의 폴더 위치에 < biobio ransomware.txt > 이름으로 생성되고, 암호화가 진행된 각각의 파일들은 < 파일명.확장자.Biobio >으로 변경됩니다. 암호화 완료 후 txt 노트를 실행합니다.


[그림9 감염결과]

화이트디펜더 대응

화이트디펜더 랜섬웨어의 악성 행위 및 차단 이전에 암호화가 진행될 파일에 대해서도 실시간으로 자동복원을 지원합니다.


[그림10 차단 메시지]

Kasper(Biobio) 차단 영상 보러 가기

이전글
이전글 없음
다음글
TX 랜섬웨어
상호 : (주)에브리존 | 대표:홍승균|사업자등록번호:220-81-67981
Copyright ⓒEveryzone , Inc. All Rights Reserved.|